척추질환


허리디스크

디스크가 탈출되어 요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이 유발되는 질병입니다. 허리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지거나 습관적으로 자세가 나쁜경우 운동부족으로 허리 근육이 약해진 경우 발생합니다.

척추협착증

척추의 퇴행성 골관절염등의 원인으로 척추관, 신경근 관, 척추간공이 좁아져서 요통과 하지통 및 보행시 오는 통증 및 감각이상의 다양한 신경증상을 보이는 질병입니다. 오래 서 있거나 한참 동안 걸으면 허리에서부터 다리까지 한쪽 또는 양쪽 다리가 아파 오면서 다리 전체가 아프고 저려서 주저앉게 된고 다리감각의 마비가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추분리증

척추 후궁의 협부에 편측 또는 양측성 결손이 있는 경우이며 40-50 대 여자에게 자주 발생하며 척추의 퇴행성 골조직 변화가 동반될 경우가 많습니다.

운동량이 많은 10 대 이후에 자주 발생하기도 합니다. 큰 불편을 주지 않을 만큼 증세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척추분리증이 진행되어 추체가 전방으로 전위될 때는 일어서서 움직이면 요추의 전만이 더 커지고 체중이 걸리게 되므로 척추뼈가 앞쪽으로 밀리는 현상이 더 심해지므로 신경이 압박되어 양다리가 저리고 발을 헛디딜 것 같아 마비감이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추압박골절

폐경기 이후 여성이나 노인 등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에 가벼운 충격에도 압박골절이 생깁니다. 척추뼈가 정상인에 비해 주저앉거나 일그러져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입니다.

목디스크

노화에 따라 디스크 수핵의 수분이 손실되고 디스크를 싸고 있는 막은 손상되고 섬유가 찢어져서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인 수핵이 빠져나온 상태입니다. 목뼈에 외부로부터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고, 나이가 들면서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생깁니다.

목뼈에서 나온 디스크가 어깨 팔쪽 신경까지 누르기 때문에 목이 뻣뻣해지고 아픈 증상이 있다 없다를 반복하다가 어깨로 거쳐 팔로 증상이 내려갑니다. 대부분 팔에서 통증을 많이 느끼는데 목은 전혀 통증이 없고 팔과 손만 저린 경우도 있으며 심한경우에는 마비감, 감각이상 팔을 들어올리거나 손가락질을 힘들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